퍼플렉시티 AI(Perplexity AI)는 기계학습과 자연어 처리 기술을 활용하여 ChatGPT처럼 사용자와 대화하는 형식으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지난 1월 5일 아마존 창업자인 제프 베이조스가 구글에 도전하는 퍼플렉시티 AI에 투자했다는 국내외 보도자료도 있고 해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챗GPT를 대체할 수 있는 서비스로 주목받고 있는 퍼플렉시티 AI의 기본적인 사용 방법을 정리하겠습니다. 특히 이번 포스팅에서는 논문 혹은 보고서 작성 시 참고할 수 있도록 PDF 번역과 요약 사례를 통하여 사용 방법을 구체적으로 정리하고, 추가적인 사항은 다른 포스팅에서 이어가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이전 포스팅에서 정리했던 기존의 챗GPT 대체 서비스들인 구글 바드, 빙챗, 앤디, 클로드 AI와의 특징과 차이점을 비교하여 정리해 두면, 추후 활용 목적에 따라 적절한 도구 활용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관련 내용들은 공지사항 두 번째에 묶어서 정리해 두었으니 해당 내용도 참고 바랍니다.
1. 기본 기능
먼저 퍼플렉시트는 바로 아래 그림처럼 매우 심플한 UI를 가지고 있습니다. 페이지 가운데 프롬프트에 질문을 입력한 후, 화살표를 클릭하면 원하는 답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기본적인 검색 기능은 별도 로그인 없이도 가능하여 편리합니다.
2. 답변 형식
답변 형식은 아래 그림처럼 크게 3개로 분류하여 제공합니다. 첫째, 답변의 출처, 둘째 답변, 셋째 질문 유사 관련 링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최근 정보를 중심으로 일목요연하게 답변을 정리하여 제공하는 점도 매우 긍정적입니다. 특히 특정 언어로 질문하는 경우 해당 언어의 웹페이지에서 답변 정보를 취합하여 제공합니다. 가령, 아래 그림처럼 "2024년 미국 경제 전망"이라는 같은 질문을 영어로 하는 경우 답변은 영어 페이지에서 관련 정보를 취합하여 제공합니다. 마지막으로 프롬프트에도 기재되어 있듯이 "Ask follow-up..."처럼 연관 질문을 계속 이어서 할 수 있어 필요 정보의 효율적 수집이 빠른 시간 내 가능하다는 점도 매우 좋습니다.
3. 논문 번역 및 요약 준비
앞의 기본 기능 외에 퍼블렉시티 AI의 핵심 기능은 아무래도 로그인을 해야 사용 가능합니다. 먼저 구글 메일 등으로 가입 후, 로그인을 합니다. 그리고 퍼플렉시티 AI의 메인 페이지에서 프롬프트를 아래 그림의 번호 순서대로 조정합니다. 즉 프롬프트 바로 아래 ① Focus, ② Attach, ③ copilot이 있습니다. ① Focus을 클릭하면, 검색 분야들이 아카데믹부터 레딧까지 분류되어 있습니다.
이 중 PDF 논문을 검토할 생각이므로 아카데믹을 선택합니다. 그 다음 ② Attach를 클릭하여 외국어 PDF 논문을 업로드합니다. 그리고 ③ copilot을 마우스 커서로 활성화시킵니다. 여기까지 준비가 완료되었다면, 프롬프트에 마우스 커서를 옮겨두면, 그림처럼 summarize 등이 프롬프트 바로 아래에 자동으로 나타납니다. 일단 summarize를 선택하겠습니다.
4. 논문 번역 및 요약 결과
아래 그림은 실행 결과를 캡처한 후, 편집한 그림입니다. 그림의 각 번호 순서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① summarize를 요청하였고, 영어로 요약을 요청하였기 때문에 ② 영어로 답변 결과가 정리되어 제시됩니다. 참고로 번역 및 요약 요청한 논문은 일본어 논문입니다. ③ 답변 결과를 한글로 번역하여 요청하면, ④와 같이 깔끔하게 정리하여 제시합니다. 재미있는 점은 Copilot 옆의 5 steps completed를 열어보면, 사용자의 질문을 어떻게 이해하고, 수행하였는지 각 단계별로 제시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5. 정리
이번 포스팅에서는 퍼플렉시티 AI의 주요 기능을 중심으로 사용 방법을 PDF 문서를 중심으로 정리하였습니다. 최근 정보도 수집하여 제공한다는 점에서 빙챗, 구글 바드, 클로드 AI와 차별적이지는 않습니다. 또한 PDF 문서를 첨부하여 번역 및 요약하고, 문서 내 주요 내용들을 질의 응답할 수 있다는 점은 클로드 AI에도 탑재된 기능이기는 하나, 어쨌든 논문 혹은 보고서를 작성해야 하는 이용자들에게는 매우 유용한 기능이라 생각합니다. 특히 연관 질문을 계속 이어서 할 수 있다는 점은 효율적 정보 수집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유익한 기능입니다, 물론 해당 기능이 퍼플렉시티 AI만의 고유 기능이라고는 할 수 없습니다. 프롬프트 입력을 통해 다른 생성형 AI 서비스에서도 충분히 구현 가능한 테크닉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답변 정보의 출처 제공 역시 빙챗은 처음부터 제공했던 서비스라는 점에서 딱히 차별적이지는 않습니다. 다만. 퍼플렉시티 AI는 관련 정보를 단계별로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제공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즉 할루시네이션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으로 판단됩니다. 물론 구글 제미나이처럼 할루시네이션 정보를 즉각적으로 제공하지는 않아 이용자가 직접 확인해야하는 불편함은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료로 이 정도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는 점은 정말 괜찮은 것 같습니다. 다만, 월 20달러로 같은 가격의 ChatGPT를 포기하고, 퍼플렉시티의 PRO유료 서비스를 이용해야지에 대해서는 개인적으로 의문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이 정도에서 마무리하겠습니다. 몇 가지 정리하지 못한 사항들이 있으나, 관련 내용은 다른 포스팅에서 이어가겠습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PDF 번역과 요약 │AskYourPDF 보고서 논문 활용과 사용 후기 (0) | 2024.01.17 |
---|---|
웹페이지 자동 요약 초간단│퍼플렉시티(Perplexity) AI 활용 2편 (0) | 2024.01.16 |
말하는 3D 애니메이션 캐릭터 간단 제작 │MyHeritage│Animate Photos│Deep story (0) | 2024.01.12 |
피카(PiKa) 기본 기능, 사용법 및 유의사항 총정리 │사용 설명서 (0) | 2024.01.11 |
LoRA 등 다양한 애니메이션 초간단 생성법│Animagine XL 2.0 사용법과 후기 (0) | 2024.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