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챗GPT 딥 리서치 "라이트 버전" 사용법 │전자책 만들기 │AI 로고 만들기 완전 정복

 

지난 4월 25일, 오픈 AI는 공식 X 계정을 통해 무료 사용자에게도 "딥 리서치" 라이트 버전을 출시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는데요. 예정일이 구체적으로 발표되지 않았습니다만, 한국 시간으로는 24일, 어제부터 챗GPT 무료 이용자들도 라이트 버전의 "딥 리서치"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오픈 AI가 "딥 리서치" 기능을 처음 공개하였을 때만 해도 Pro 플랜(월 200달러) 사용자만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이었습니다만, 지난 2월 25일부터는 Plus, Team, Enterprise, Edu 플랜 이용자들도 월 10회로 제한적 사용이 가능하도록 공개되었다가 이번에 월 5회 사용으로 제한되었지만, 어쨌든 무료 플랜 이용자들에게도 확대 공개되었습니다. 일단, 딥 리서치는 특정 주제를 보다 깊이 있게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AI 기능이라 할 수 있는데요. 단순 검색 결과를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핵심 내용과 필요시 추가 내용 분석 그리고 출처 제공을 통해 전문가 수준의 콘텐츠를 빠르게 만들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상당히 유용한 기능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 공개된 "라이트 버전"은 기존의 풀(Full) 버전에 비해 성능은 다소 낮겠지만, 어느 정도 수준인지 궁금했는데요. 이번 포스팅을 통해 챗GPT의 딥 리서치 "라이트 버전"을 직접 한 번 사용해 보고, 사용기를 공유하겠습니다. 물론 이미 우리 블로그에서는 젠스파크, 퍼플렉시티, 그록, 제미나이, 라이너, 펠로 AI와 같은 다양한 국내외 "딥 리서치" 서비스 무료 사용법을 공유한 바 있는데요. 추후 각 서비스별로 생성 결과의 퀄리티를 비교해 보는 것도 재미있을 것 같습니다. 다만, 이번 포스팅에서는 "AI로고 만들기 완전 정복"이라는 전자책 작성 사례를 통하여 챗GPT의 딥 리서치 "라이트 버전" 사용법과 후기까지만 정리하여 공유하겠습니다. 

 

[ 한국어 지원 ] 구글 노트북 LM AI 음성 무료 사용법 │관세, 중국 그리고 트럼프 취임 100일 TED 유

구글 노트북 LM의 "AI 음성 개요" 서비스가 드디어 한국어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구글 노트북 LM의 "AI 음성 개요" 서비스 사용법을 정리하여 공유하겠습니다. 이용 사례로는

e-datanews.tistory.com

 

젠스파크 AI 슬라이드 사용법│화꾸 활용 일본 화장품 시장 전략 │PPT AI

젠스파크 AI가 슬라이드 자동 생성 서비스를 시작했는데요. 상당히 재미있습니다. 물론 무료로도 사용해 볼 수 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젠스파크 AI 슬라이드와 "화꾸"라는 키워드를 이용하

e-datanews.tistory.com

 

펠로 AI 딥 리서치 사용법 │웹 페이지 무료 자동 생성과 공유 │AI PPT

펠로 AI도 "딥 리서치" 기능을 제공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펠로 AI의 "딥 리서치" 사용법을 정리하여 공유하겠습니다. 젠스파크, 퍼플렉시티, 그록, 라이너, 제미나이의 "딥 리서치

e-datanews.tistory.com

 

1. 딥 리서치 모델 │사용 제한 

아래 캡처 이미지는 최근 챗GPT 무료 플랜으로 로그인했을 경우, 캡처한 이미지인데요. 이미지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①"심층 리서치"가 추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심층 리서치가 바로 "딥 리서치"인데요. 계속 이어서 각 캡션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이번에 공개된 딥 리서치 라이트 버전은 챗GPT의 가장 최근 버전인 o4-mini 기반임을 확인할 수 있고, 동시에 월 사용 횟수는 5회로 제한되어 있음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챗GPT의 "o4-미니" 기반의 딥 리서치 │월 5회 사용 제한
챗GPT의 "o4-미니" 기반의 딥 리서치 │월 5회 사용 제한

 

[ 무료 ]구글 제미나이 2.5 프로 사용법│논문 작성 활용법

지난 달 말, 구글 제미나이 2.5 프로도 무료 플랜 이용자들에게 개방되었습니다. 물론 하루 사용 횟수에 제한이 있기는 합니다만, 테스트 용도로는 충분합니다. 일단 논문 작성 목적으로 구글 제

e-datanews.tistory.com

 

구글 젬마 (Gemma)3 로컬 PC(온디바이스) 설치 및 사용 후기│LM Studio 설치 및 사용법

내 PC에서 무료로 횟수 제한 없이 다양한 외국어 논문, 보고서를 요약 및 번역할 수 있다면, 사용하시겠습니까? 관심 있는 분들은 이번 포스팅 내용을 끝까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구글의 젬마 3

e-datanews.tistory.com

 

2. 적용 순서

딥 리서치 적용 순서는 큰 차이가 없으나, 특히 좋은 점은 멀티모달을 지원한다는 점입니다. 이번 사용 사례에서는 "AI 로고 만들기 완전 정복"이라는 제목하에 전자책 만드는 사례를 이용하는데요. 아래 캡처 이미지와 같이 기존 원고를 업로드한 후, 각 지시사항을 프롬프트로 입력하고, 실행합니다. 그러면, 본격적인 딥 리서치 전에 챗GPT가 몇 가지 사항을 확인하는데요, 이에 대해 적절히 회신한 후, 실행시키면 본격적인 딥 리서치가 진행됩니다. 

딥 리서치 적용 순서│챗GPT의 "o4-미니" 기반
딥 리서치 적용 순서│챗GPT의 "o4-미니" 기반

 

소스 검색 추가│웹 검색 결과 자동 요약 │구글 노트북 LM 사용법

구글 노트북 LM의 웸 검색 기능인 "소스 검색"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이제 구글 노트북 LM에 PDF 등의 파일을 업로드하지 않더라도 웹 검색 기반의 "소스 검색"기능을 통해 다양한 보고서 등의 작

e-datanews.tistory.com

 

[2025] 유튜브 영상 무료 요약│구글 노트북 LM 사용법│국제 화장품 시장 조사 사례

우리 블로그에서는 작년 6월경에 처음 구글의 노트북 LM 사용법을 정리하여 공유한 바 있는데요. 최근 유튜브 등의 영상 내용을 요약하는 기능이 업데이트된 바 있습니다. 그래서 겸사겸사 오랜

e-datanews.tistory.com

 

3. 딥 리서치 과정 중

딥 리서치를 실행시키면 아래 캡처 이미지와 같이 딥 리서치 진행 과정을 순서대로 보여줍니다. 딥 리서치 최종 완료까지는 총 25분가량 소요되었습니다. 다른 포스팅에서도 언급한 바 있습니다만, 챗GPT의 딥 리서치는 "라이트 버전"의 경우에도 상대적으로 많은 시간이 소요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딥 리서치 실행 중│챗GPT의 "o4-미니" 기반
딥 리서치 실행 중│챗GPT의 "o4-미니" 기반

 

오오에이아이 ( OO. AI ) 사용법과 리뷰│AI 검색 플랫폼│오픈 리서치

AI 검색 국내 전문 업체인 오픈 리서치가 "오오에이아이(OO.AI)" 라는 AI 검색 플랫폼을 엊그제인 3월 17일 출시했습니다. 관련 보도자료에 따르면, 기존 검색은 키워드로 유사 정보를 찾는 데 특화

e-datanews.tistory.com

 

스파크페이지( SparkPage )를 이용한 논문 보고서 작성 방법 │Genspark 2.0 사용법

이번 포스팅에서는 "젠스파크(Genspark, 이하 젠스파크라고 함) 2.0" 사용법이라는 주제로 특히 스파크페이지의 장점을 잘 살릴 수 있는 논문, 보고서 작성 사례에 기반한 사용법을 정리해 보겠습니

e-datanews.tistory.com

 

4. 딥 리서치 완료

아래 캡처 이미지는 딥 리서치 완료 후의 모습입니다. 캡처 이미지의 상단 오른쪽과 같이 ⑥"딥 리서치 완료"가 나타나고, ⑦과 같이 전체 콘텐츠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단 프롬프트 지시 사항대로 결과가 잘 만들어져 개인적으로는 마음에 드네요. 

딥 리서치 완료│챗GPT의 "o4-미니" 기반
딥 리서치 완료│챗GPT의 "o4-미니" 기반

 

[무료] AI PPT 메이커 사용법│[추천] AI 파워드 템플릿 가이드

우리 블로그에서 "PPT 무료로 만들어 주는 AI 웹사이트"는 여러 개를 소개한 바 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 소개할 "AI 파워드 템플릿"은 이전의 감마 AI, 피치 AI와 더불어 개인적으로 강추하는 AI PP

e-datanews.tistory.com

 

피치 AI가 감마 AI 보다 좋은 이유│Pitch AI PPT 단계별 사용법과 리뷰

이전에 다양한 포스팅을 통해 여러 가지 AI PPT들의 사용법과 실제 결과들을 공유한 바 있습니다. 특히 유명한 감마(Gamma) AI부터 최근의 페로(Felo) AI 등이 그러한 사례들인데요. Pitch AI PPT(이하, 피

e-datanews.tistory.com

 

5. 딥 리서치 활동과 출처 

딥 리서치로 생성된 결과물의 제일 끝에는 아래 캡처 이미지와 같이 "출처"가 있는데요. 이를 클릭해 보면, 캡처 이미지 오른쪽과 같이 딥 리서치 활동을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즉 어떤 과정을 통해 딥 리서치가 수행되었는지 차례대로 확인이 가능하니 관심 있는 분들은 해당 내용도 한 번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딥 리서치 출처 │딥 리서치 활동│챗GPT의 "o4-미니" 기반
딥 리서치 출처 │딥 리서치 활동│챗GPT의 "o4-미니" 기반

 

[추론 AI] 씽크 딥퍼 (Think Deeper) 무료 무제한 사용법│팁과 유의점│마이크로 소프트 코파일럿

지난주 25일, 마이크로소프트는 블로그를 통해 추론 AI 모델인 싱크 딥퍼(Think Deeper 이하 싱크 딥퍼라고 함)의 무제한 무료 사용을 공식 발표한 바 있습니다(MS Copilot Blog 바로가기). 이번 포스팅에

e-datanews.tistory.com

 

그록2 사이트 무료 사용법│Grok2 코딩과 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논문 분석 가이드

무료로 그록(Grok) 사용하는 방법을 사이트 기준으로 계속 정리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그록2에 대한 이야기인데요. 그록3로 업데이트되기 전, 그록2의 기능은 "리서치(Research), 브레인

e-datanews.tistory.com

 

6. 딥 리서치 생성 결과 공유

또한 아래 캡처 이미지와 같이 ⑩"출처 17개"를 클릭하면, 콘텐츠에서 인용한 출처들을 확인할 수 있으며, ⑪"공유" 아이콘을 클릭하면, "미리 보기" 후, 생성된 결과물을 공유할 수도 있습니다. 

딥 리서치 출처 공개 │생성 결과 공유│챗GPT의 "o4-미니" 기반
딥 리서치 출처 공개 │생성 결과 공유│챗GPT의 "o4-미니" 기반

 

[업데이트] 클로드 3.7 소네트 비즈니스 글쓰기 가이드│데이터 분석부터 인스타 피드까지

이번 포스팅에서는 "클로드 3.7 소네트 (Claude 3.7 Sonnet)" 기반의 비즈니스 글쓰기 가이드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보통 클로드는 코딩과 글쓰기에 특화된 서비스로 많이 알려져 있는데요. 일단 이번

e-datanews.tistory.com

 

7. 사용후기

이번 포스팅에서는 챗GPT의 "라이트 버전"인 "딥 리서치" 사용법을 정리하여 공유하였습니다. 사용법 자체는 기존의 다른 유사 서비스들과 큰 차이는 없습니다만, 첫째 멀티모달을 지원한다는 점은 큰 장점이라 생각합니다. 둘째 챗GPT 딥 리서치 소요시간은 풀(Full) 버전의 경우에도 20분가량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라이트 버전의 경우에도 이와 유사한 시간이 소요되어 다른 경쟁 유사 서비스들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대기 시간이 길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생성 결과의 퀄리티는 개인적으로 마음에 드는데요. 이번 사용 사례에서는 첨부 파일 기반의 딥 리서치라 그럴 수도 있겠다는 생각입니다. 실제 딥 리서치 내용을 검색하고, 정리하여 결과물을 생성하는 경우에는 결과의 퀄리티가 다소 떨어질 수도 있을 것 같은데요. 이는 추후에 다시 한번 확인해 보겠습니다. 이 정도 내용으로 이번 포스팅도 마무리하겠습니다. 앞서 설명드린 내용을 토대로 직접 한 번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이러니 저러니 해도 상당히 좋은 AI 기술임은 분명하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