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카드뉴스] 1인 가구 인구 통계 특성│혼족의 성별 연령별 수도권 특성 │1인 가구 트렌드 리포트 2020 (오픈서베이)

 [카드뉴스] 1인 가구 인구 통계 특성│혼족의 성별 연령별 수도권 특성 │1인 가구 트렌드 리포트 2020 (오픈서베이) 

1. 들어가며

이번 포스팅은 통계청 자료를 기초로 1인 가구, 이른바 혼족의 최근 5년 간(2015-2019년) 성별, 연령별, 수도권 거주 현황을 정리하였다. 
오픈서베이 뉴스레터를 읽던 중 개인적으로 1인 가구, 혼족에 대해 잘 모르고 있다는 점과 셀러 입장에서도 이들 가구 특성에 대한 기본적인 자료는 알고 있어야겠다는 생각도 작용했다. 
포스팅의 핵심은  "1인 가구의 증가에서 눈여겨 봐야 할 키워드는 청년층(25-29세), 경기도로 요약할 수 있겠다. 
오픈서베이 뉴스레터에서 보내온 "1인 가구 트렌드 리포트 2020" 자료도 포스팅 하단에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올려놓았으니, 같이 보면 나름 한국의 1인 가구 혹은 혼족 특성에 대한 개념이 잡힐 것으로 기대한다. 

2. 카드뉴스

한국의 1인 가구 특성(통계청, 2019)
최근 5년 간 한국의 1인 가구수, 성별 증가 현황

한국의 1인 가구수는 최근 5년 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라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남성 보다는 여성의 1인 가구수가 상대적으로 크게 증가하였으나, 남성의 1인 가구 수 증가도 최근 5년 간 18% 이상 증가하였다. 

최근 5년 간 연령별 1인 가구 증가 추이 

연령별로는 이제 막 사회생활을 시작하는 25-29세 연령층에서 1인 가구 비중과 최근 5년 간 증가폭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연령별 여성 1인 가구 증가 추이 

여성의 경우 전 연령층 중 25-29세에서 비중과 증가폭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60-64 여성 1인 가구도 비중과 증가폭이 크다는 점을 추가로 확인할 수 있다. 

최근 5년 간 연령별 남성 1인 가구 증가 추이 

남성의 경우에도 25-29세 연령대의 1인 가구수가 가장 많다. 재미있는 점은 남성은 여성과 달리 경제사회 생활을 왕성하게 시작하는 25-35세 사이 연령층의 1인 가구 비중이 매우 높다는 점이다. 

최근 5년 간 수도권 여성, 남성 1인 가구 증가 추이 

수도권 거주 1인 가구를 성별로 분류해보면, 우선 여성의 경우 서울 거주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남성은 경기도 거주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최근 5년 간 증가폭으로 보면 여성의 경기도 거주 비중도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3. 나오며

정리하면, 앞서 "최근 5년간 1인 가구, 혼족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25-29세 연령층이 1인 가구 증가를 주도하고 있으며 경기도 거주 비중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라고 할 수 있겠다. 
셀러 입장에서는 이들 1인 가구, 혼족이 어떤 소비태도 혹은 구매태도를 가지는지 관심을 가질 수 밖에 없는데, 관련 내용은 아래 1인 가구 트렌드 자료를 참고하기 바란다. 개인적으로는 1인 가구의 애완동물에 대한 태도가 재미있었다. 아니 사실은 좀 이외였다. 

마지막으로 본 카드뉴스 포스팅은 지난 포스팅에 알아본 Datawrapper을 이용하였다. 관심있는 분들은 아래 링크를 통해 관련 포스팅을 확인하면 된다. 

이어서 보기 클릭 ☞ [카드뉴스] 무료 데이터 시각화 도구 │히트맵 작성법 │Datawrapper 사용법

[오픈서베이 1인 가구 트렌드 리포트 2020]

opensurvey_trend_soloeconomy_2020.pdf
1.73MB